2018년 15번째 주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git을 사용하면서 단순히 커맨드를 외워서 사용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다. 보통 그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든다. 첫 번째로 git의 mental model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git에서 변경된 내용은 크게 다음 상태 중 하나가 된다.

  1. 리모트에 존재하는 상태
  2. 로컬 브랜치에 있는 상태
  3. 브랜치에 머지되지 않았지만 add 돼 있는 상태
  4. 변경은 있지만 add 되지는 않은 상태
  5. stash에 들어있는 상태
  6. 예전에 커밋했었지만 지금은 브랜치로 따라갈 수 없는 상태

이 중에서 내가 수정했던 내용이 어떤 상태인지 모르는 것이 헷갈리게 하는 첫 번째 이유다. 하지만 반대로 왜 이렇게 많은 상태를 가지게 됐을지 생각해보면 git을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것들은 전부 그냥 추가된 것이 아니다. 애초에 git을 처음 만든 사람은 Linus Torvalds다. 그의 성격상 쓸모없는 것은 추가되지 않았다. 전부 제각각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아쉽게도 글로 잘 설명할 자신이 없다. 사실 이걸 이해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은 svn을 써보는 것이다. 쓰다 보면 불편한 부분들이 자주 생기는데, git에서는 위에서 말한 것들을 이용해 이를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사람들이 git을 어려워하는 두 번째 이유는 명령어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이건 어쩔 수 없다. 사실 git의 명령어는 규칙성 없이 만들어졌다. 그래서 외우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명령어를 써야 한다는 식으로 외우면 끝이 없다. 그보다는 각 명령어가 어떤 상태와 연관이 있는지를 보는 것이 좋다. git 명령어는 대부분 변화된 내용을 위의 상태 중 하나로 만들거나, 특정 상태로 로컬에 있는 파일을 변경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파일이 어떤 상태에 있고 명령어 이후 어떤 상태로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면 조금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다.

News is bad for you – and giving up reading it will make you happier

뉴스가 사람의 정신건강에 해롭다는 기사다. 사람들이 흔히 정보를 얻으려고 뉴스를 읽지만, 실제로는 별 도움도 안 되고 시간만 낭비하게 하고 사람의 창의성을 없애고 수동적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Introduction to zkSNARKs

이더리움의 최근 움직임 중에서 zero-knowledge proof인 zkSNARKs을 도입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위 자료는 이더리움 소속으로, 솔리디티 창시자 중 하나이며 zkSNARKs를 구횬하고 있는 Christian Reitwiessner이 zkSNARKs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 발표자료다. 자료 이름은 zkSNARKs이지만 대부분의 내용을 zero-knwledge proof가 무엇인지에 설명하는 데 쓰고 있으므로 zero-knowledge proof가 무엇인지 알고 싶은 사람들이 보기에도 좋은 자료다.

RSS is undead

RSS는 이미 수명이 끝났고, 다시 살아날 리 없다는 글이다. 지난번에 소개했던 It's Time for an RSS Revival이나 Why RSS Still Beats Facebook and Twitter for Tracking News의 반대편에 있는 입장이다.

RSS는 소규모 사이트의 글을 구독하는 데는 적절하지만, 대형 사이트의 특정 카테고리의 글을 구독하는 데는 적당한 UX를 제공하지 못하고, 퍼블리셔 입장에서 사용자의 패턴을 파악할 수 없을뿐더러 광고수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와 퍼블리셔 양쪽에게 손해라는 것이다.

What is a “box model”? (UI Element layout)

Web을 비롯하여 현대의 많은 UI framework들이 box model을 사용하기 때문에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려면 한 번 읽어두는 것이 좋다.

The Science of The Job Search, Part III: 61% of “Entry-Level” Jobs Require 3+ Years of Experience

경력 같은 신입을 원하는 건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 공통인듯하다.

A fork on Github is no fork

Git은 decentralized 된 version control system이기 때문에 fork를 하면 어디서 fork 해왔는지와 완전히 독립적인 repository로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Github의 fork는 그 모든 설정과 권한이 원본 repository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진짜 fork가 아니라는 글이다. 원칙적으로 맞기는 하지만 Github Enterprise나 private repository 유료 모델을 생각해보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Uninhabited types are ZSTs despite partial initialization being allowed in safe code.

Rust 1.24.0 이후 생긴 memory safety가 깨지는 버그다.

Rust는 무한루프나 내부에서 exit 하기 때문에 return 되지 않는 함수를 표현하기 위해서 uninhabited type을 도입했다. 이 uninhabited type으로 product type을 만들면 이 타입도 uninhabited type이 돼서 크기가 0인 type으로 계산되는데, 이 product type의 다른 field를 접근하는 게 가능해서 주소 계산이 잘못되는 버그가 발생했다. Rust에 zst(zero size type)가 도입됐을 때부터 메모리 주소 계산을 잘못 하는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정말로 터져버렸다.

현재 두 가지 해결 방안 중에서 어느 쪽으로 해결할지 논의 중이라고 하니까 다음 버전인 1.26.0에서는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Top 10 Bugs in the C++ Projects of 2017

소프트웨어 분석 회사인 viva64에서 2017년 동안 발견했던 버그 중 가장 인상 깊은 버그 10개를 발표하였다. uninitialized memory부터 type error나 단순 실수까지 다양하게 있다.

Don’t Give Away Historic Details About Yourself

자기 정보를 쉽게 제공하지 말라는 글.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민등록번호 유출에조차 익숙해져서 그런지 자기 정보를 적는데 아무런 망설임이 없다.

Why Does "=" Mean Assignment?

수학에서는 보통 대입에는 :=를 사용하고 =는 비교에 사용한다. 근데 프로그래밍에서는 왜 =를 대입에 사용하게 됐는지에 관한 글이다. 뭐 지금은 다들 =를 대입연산자로 사용하고, ==를 비교연산자로 사용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지만, 그냥 재미로 읽어봤다.

댓글

  1. 오타가 있는 것 같습니다. git 관련 토막글에 metal model 이 아니라 mental model을 의미한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SB 2.0 케이블의 내부 구조

[C++] enum class - 안전하고 쓰기 쉬운 enum

Log Aggregator 비교 - Scribe, Flume, Fluentd, logstash

[Web] SpeechSynthesis - TTS API

터미널 출력 제어를 위한 termios 구조체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