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7번째 주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The Configuration Complexity Clock
Configuration을 만들다 보면 Rules engine이나 심할 때는 DSL(Domain Specific Language)까지 만들기도 하는데, 어떨 때는 그냥 하드코딩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일 수 있다는 글이다.
Linus's Law
given enough eyeballs, all bugs are shallow
리누스의 법칙은 위의 한 줄로 정리된다. 오픈 소스의 근간이 되는 문장이고, peer-review가 필요한 이유로도 많이 언급된다. 문제는 최근의 거대한 소프트웨어서는 버그를 발견하는 데 필요한 enough의 수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게다가 시스템이 복잡하다면, 그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한 개발자는 버그를 발견하기 위한 eyeballs 중 하나가 되지도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스템을 단순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Language Health
각 언어가 오픈 소스에서 얼마나 많이 사용되는지 비교해보는 사이트다. 다만, 어디까지나 오픈소스에서 얼마나 많이 커밋이 있었는지에 대한 비교이지,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지나, 클로즈드 프로젝트에서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지는 알 수 없다.
An introduction to the GNU Core Utilities
리눅스에서 작업하다 보면 필요한 유틸리티 모음. 터미널에서 작업할 때 알면 좋은 것들이다.
REST APIs are REST-in-Peace APIs. Long Live GraphQL.
GraphQL의 장점에 관해서 쓴 글이다. 근데 여전히 GraphQL을 쓸지는 모르겠다. 복잡한 웹 서버를 짤 일이 있으면 모르겠는데 요새는 웹 서버라기보다는 그냥 간단한 툴의 UI를 웹으로 사용하는 정도로만 웹 코딩을 하고 있다. 이 정도 수준의 앱에서는 GraphQL을 사용하는 것이 오버헤드가 더 클 것 같다. 사실 반대로 말하면 뭘 써도 상관 없는 크기라서 GraphQL을 써도 된다. 하지만 다른 라이브러리에 디펜던시 없이 구현할 수 있는 REST에 비해서 GraphQL을 쓰려면 GraphQL을 구현하는 라이브러리를 써야 하므로 의존성을 추가해야 하는데 아직 그만한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
GO's New Brand
GO가 새 로고를 발표했다. 드디어 이상한 쥐를 버린 줄 알았는데 Gopher는 마스코트로 여전히 남겨두는 듯 하다.
Flask 1.0 Released
Flask가 드디어 1.0이 됐다. 사실 전에도 0.X인걸 신경 쓰지 않고 썼기 때문에 상관없지만 1.0을 쓰면 괜히 기분이 좋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