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4번째 주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Why you should pick strong consistency, whenever possible

지난번 글에서 CP와 AP 중에서 CP를 AP보다 더 선호해야 한다고 썼었다. 이렇게 생각한 사람이 나만 있는 건 아닌 것 같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팀에서 발표한 Spanner라는 데이터베이스는 external consistency를 보장한다. 이 포스트는 Spanner가 external consistency를 사용한 이유에 관한 글인데 제목은 strong consistency라고 나와 있지만, 이는 strong consistency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기 때문에 제목을 이렇게 쓴 것이지 Spanner는 언제나 최신 데이터를 읽을 것을 보장하는 external consistency를 보장한다.

MantisTek GK2's Keylogger Is A Warning Against Cheap Gadgets

중국 키보드에서 키로거가 검출됐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전자제품 살 때 알리익스프레스를 많이 사용한다. 같은 사양의 제품을 10분의 1도 안 되는 가격으로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마다 친구들과 이거 전부 해킹당하고 있는거 아닌가라는 농담 하면서 구매하고 몇일은 외부로 나가는 네트워크를 감시하고 그랬는데 실제로 키로거 하는 제품이 있었다.

There's a biological reason you're bored at work

회사 생활에 질리고 권태감이 드는 게 생물학적으로 당연하다고 한다. 사람의 뇌는 언제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도록 진화됐다고 한다. 이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에게도 마찬가지다. 동물들도 주어진 먹이를 먹는 것보다 숨겨진 음식을 찾아서 먹는 것을 더 좋아한다. 숨겨진 것을 찾아내고 새로운 것을 알아가면 뇌가 자극받아 도파민을 분비하고 이게 기쁨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현대의 회사 시스템은 이런 도전 정신을 자극할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결국 주기적으로 팀을 옮기거나 조금 더 적극적인 경우 회사를 옮기거나 회사 생활에서 못 받는 자극을 취미에서 찾거나 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권태감을 개인 프로젝트로 푸는 편이다. 특히 회사 일과 같은 것을 하지 않기 위해서 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는 회사에서 쓰는 것과 다른 특성의 언어를 사용하여 회사 일과 상관없는 분야를 한다.

Known-planitext attack

KPA라고 불리는 암호학 공격기법이다. 이름 그대로 공격자가 암호화되기 전의 평문을 알고 있는 암호문이 몇 개 있을 때, 이를 기반으로 어떤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것인지, 혹은 알고리즘을 이미 알고 있다면, 어떤 키로 암호화됐는지 찾아내는 공격방법이다. 찾아낸 알고리즘이나 키를 이용하여 후에 들어오는 암호문을 복호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It's Time for an RSS Revival

지난번에 소개했던 Why RSS Still Beats Facebook and Twitter for Tracking News와 비슷한 글이다. 최근 페이스북에서 터진 이슈 때문에 많은 사람이 대안을 찾고 있어 RSS에 주목하는 글이 많이 나오고 있는 듯하다.

Metcalfe's law

네트워크의 효용성은 노드 간 컨넥션 수가 높을 수록 높으므로 노드 수의 제곱에 비례하게 된다는 법칙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든 노드가 서로 컨넥션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네트워크에서는 메칼프의 법칙이 성립하지만, 크기가 커지면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노드 수가 많은 네트워크는 complete graph도 아니고 각 컨넥션이 모두 같은 가치를 갖는것도 아니기 때문이라고 한다.

댓글

  1. Rlp 인코딩에 관해 고견 여쭙습니다

    Tom Jones 라는 이름을 RLP 인코딩한 결과를 알 수 있을까요?

    https://open.kakao.com/o/s83QQLK 에

    알려주신다면 꼭 사례하겠습니다! RLP인코딩에 관해선 블로그 주인장님이 유일하신것 같아 꼭 부탁드립니다!

    답글삭제
    답글
    1. Tom Jones는 인코딩하면
      0x89546f6d204a6f6e6573
      이 됩니다.

      다른 궁금한 문자열이 있으시면 npm 패키지인 https://www.npmjs.com/package/rlp 이용해 간단하게 테스트하실 수 있습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SB 2.0 케이블의 내부 구조

[C++] enum class - 안전하고 쓰기 쉬운 enum

Log Aggregator 비교 - Scribe, Flume, Fluentd, logstash

[Web] SpeechSynthesis - TTS API

터미널 출력 제어를 위한 termios 구조체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