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QL인 게시물 표시

2018년 16번째 주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ISO week date 오늘이 올해의 몇 번째 주인지 정하는 기준은 말하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래서 이 요약정리 시리즈는 ISO 8601 기준으로 몇 번째 주인지 표기한다. ISO 8601에 따르면 1월 4일이 포함된 주를 그 해의 첫 번째 주로 취급한다. 다른 말로 한 주의 시작을 월요일로 봤을 때 4일 이상 포함된 첫 번째 주가 그 해의 첫 번째 주인 것이다. TextQL 머신 러닝이나 데이터 마이닝을 할 때 데이터의 경향성을 대강 파악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럴 때 사용되는 데이터는 보통 매우 큰 데이터이기 때문에 에디터로 열어서 보는 것은 무리가 있고, 간단하게 스크립트를 짜서 실행하게 된다. 근데 이때 하는 일은 대부분 비슷한 일이기 때문에 꽤나 귀찮은 작업이었는데, 스크립트를 짜지 않고 파일을 SQL 을 실행시켜주는 프로젝트가 있었다. 아직 사용해보지는 않아서 직접 스크립트를 짜는 것과 비교하면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꽤 많은 사람이 쓰고 있는 것 같다. Writing 수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사고하는 법을 익히기 위해서이듯이, 글쓰기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을 생각했는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다. 사람은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생각한 것을 써서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글을 쓰는 것은 내가 글 쓰는 주제에 대해 나보다 모르는 독자를 가정하고 글을 쓰게 된다. 그래서 평소에는 당연하게 생각하고 넘어갔던 것들에 대해서도 한 번 더 생각하고 넘어갈 시간을 가지게 한다. How quantum computing could wreak havoc on cryptocurren...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SB 2.0 케이블의 내부 구조

[C++] enum class - 안전하고 쓰기 쉬운 enum

Log Aggregator 비교 - Scribe, Flume, Fluentd, logstash

[Web] SpeechSynthesis - TTS API

터미널 출력 제어를 위한 termios 구조체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