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Alice와 Bob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글을 읽으면 Alice 와 Bob, Carol , Eve , Mallory 등 많은 이름이 등장한다. 보통 이 이름들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부여되기 때문에 각 이름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안다면 그 프로토콜이 무엇을 어떻게 풀려고 하는지 조금은 더 이해하기 쉬워진다. 이번 글에서는 많이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름들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간략하게 정리해보았다. 네트워크 참여자 - Alice , Bob 보통 Alice 와 Bob 은 서로 통신하려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때 통신하는 메시지는 보통 암호화하여 통신하는 메시지를 의미하는데 비대칭 키를 사용할지, 대칭 키를 사용할지는 그때그때 다르다. 다자 간 통신 참여자 - Carol , Dave , Erin , Frank , Gray Carol 과 Dave 는 Alice 와 Bob 과 함께 통신에 참여하는 경우 사용된다. Carol 과 Dave 말고도 Charlie 나 David 같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통 Carol 과 Dave 를 많이 사용한다. 5명 이상의 참여자가 필요한 프로토콜을 묘사할 때는, E, F, G로 시작하는 이름들을 사용한다. 보통 Erin , Frank , Gray 등의 이름이 사용되는데 어떤 이름을 사용할지는 딱히 정해져 있지 않다.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Eve 와 Faythe , Grace 등을 제외하고 아무 이름이나 사용된다. 공격자 - Eve , Mallory , Oscar , Trudy Eve 는 보통 네트워크를 감시하여 패킷을 도청하는 공격자를 의미한다. 다만 Eve 는 능동적으로 공격을 하지는 않고 Alice 와 Bob 이 주고받는 대화를 도청하여 무슨 대화를 주고받는지 알아내는 공격자에게 붙이는 이름이다. 이름의 유래는 eavesdrop에서 나왔다. Trudy 라는 이름은 Eve 보다 조금 더 적극적인 공격자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 Alice 와 Bob 사이에 끼어들어 Alice 와 Bob 의 ...

이더리움과 Eclipse attack

p2p 네트워크는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Eclipse attack 이다. Eclipse attack은 네트워크 전체를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로 하는 노드의 Routing table을 공격하여 목표로 하는 노드와 전체 네트워크 사이에 악의적인 노드를 집어넣는 공격이다. Routing table을 공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routing-table poisoning이라고도 불린다. 이더리움도 p2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기 때문에 eclipse attack이 가능하리라 생각은 했는데 지난 3월 1일 발표 된 페이퍼 에 따르면 단 2개의 노드만으로 하나의 노드를 완전히 고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 페이퍼는 올해 1월 진행됐던 바운티 프로그램에서 나온 문제점들을 정리한 페이퍼로 크게 세 가지 공격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문제는 이해하기 위해 이더리움이 p2p 네트워크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네트워크 그래프 구성에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노드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흔히 node discovery라고 하는데 이더리움은 node discovery를 위해 DHT( Distributed Hash Table ) 프로토콜 중 하나인 Kademlia 의 일부를 수정해서 사용한다. Kademlia가 다른 DHT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은 노드 간의 거리를 XOR distance로 측정한다는 것이다. XOR distance의 거리는 symmetric 하므로 노드 아이디만 알고 있으면, 노드 A가 생각하는 노드 B까지의 거리나, 노드 B가 생각하는 노드 A까지의 거리나, 노드 C가 생각하는 노드 A와 노드 B 사이의 거리가 같다. 따라서 각 노드는 자신이 알고 있는 노드 중에서 자신과 가까운 노드들과만 통신하면 적은 연결 수로도 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ademlia 페이퍼에는 대략 노드의 개수를 N 이라고 할 때 각 노드는 O(log(N)) 개의 연결만 유지하면 된...

2018년 12번째 주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not invented here syndrome not invented here syndrome이란 말 그대로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 혹은 다른 팀에서 개발한 물건을 배척하는 태도를 말한다. 너무나 당연하게 이런 태도는 잘못된 것이다.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은 대부분 비슷하기 때문에 이미 그것을 만든 사람이 있을 것이다. 게다가 내가 천재가 아닌 이상 더 오랜 시간 개발되고 테스트해온 다른 라이브러리가 더 안정적으로 돌아갈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요새는 오히려 반대의 태도. 즉, 모든 라이브러리나 툴을 외부에서 가져와서 해결하려는 태도 때문에 개발이 더 느려지게 되었다. 라이브러리 혹은 프레임웍은 일반적인 문제에 대해서 해결하고자 작성됐기 때문에 간단한 문제를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로 해결하려고 할 때 오히려 문제가 더 커지기도 한다. 널리 쓰이는 용어는 아니지만 이를 not invented here의 반대된다는 뜻에서 invented here syndrome 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결국 엔지니어링은 트레이드오프 사이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접 구현할지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할지 적절한 수준에서 잘 선택해야 한다. 조직문화와 리더십을 일치시키지 마라 회사 경영에서 추구하는 바를 크게 성과 지향과 관계 지향으로 나눴을 때 어느 쪽을 추구할 것인지에 대해서 조직이 추구하는 방향과 리더가 추구하는 방향을 일치시키지 말라는 글이다. 상식적으로는 리더가 성과 지향일 경우 조직 문화도 성과 지향적이어야 높은 성과를 내기 쉽고, 리더가 관계 지향일 때는 조직도 관계 지향적이어야 회사가 원활하...

CAP theorem

CAP theorem 은 분산 스토리지는 consistency(a.k.a. C ), availability(a.k.a A ), partition tolerance(a.k.a. P )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C , A , P 는 각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와 다른 용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CAP theorem을 이해하려면 각자가 정의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C 는 모든 read operation이 최신 데이터를 받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C 를 보장하는 시스템은 만약 최신 데이터를 돌려줄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에러를 돌려줘야 한다. 개인적으로 분산 스토리지를 구현할 때 C , A , P 중 가장 구현하기 어려운 특성은 C 라고 생각한다. A 는 모든 operation이 에러가 아닌 데이터를 돌려주는 것이다. 이때 돌려주는 값은 최신 값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심지어 eventual consistency 와 A 를 보장하는 시스템에서는 실제로 존재할 수 없는 데이터 조합이 생길 수도 있다. P 는 partition 상황에서도 시스템이 정상 동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시스템이 정상 동작한다는 것이 언제나 최신 데이터를 보장하거나 에러가 아닌 값을 준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C 와 A 가 보장하는 것이고 partition 상황에서도 partition이 아닌 상황과 같은 것을 보장하면 P를 보장한다고 할 수 있다. 근데 여기서 partition은 정말 네트워크 레이어에 문제가 생겨 물리적으로 다른 망이 구성되는 상황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partition은 일부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는 상황도 포함된다. 이는 분산환경에서 매우 흔히 발생하는 일이고 P 를 포기한다는 것은 결국, 분산 환경을 포기한다는 말이 되기 때문에 분산 데이터 스토리지를 만들 때는 결국 CP 와 AP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CP 와 AP 중 구현하기 더 어려운 것은 CP 라고 생각된다. 모든 노드가 언제나 같은...

2018년 10번째 주

이미지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Slack Is Shutting Down Its IRC Gateway 채팅 프로그램들은 누구나 겪는 문제 중 하나가 일부 사용자가 IRC 클라이언트를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lack 도 마찬가지였고, 이에 대해서 Slack은 IRC Gateway 를 지원하여 IRC 사용자들도 Slack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다. https://xkcd.com/1782/ p 하지만 이제는 Slack을 IRC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없다. Slack이 IRC 서포트를 중지한다고 발표했다. 모든 플랫폼에서 같은 사용자 경험을 주고 싶은데 IRC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들이 방해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미 Slack에서 IRC Gateway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 한정된 기능에 적응하고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일 텐데, 이 사람들을 포기하면서 같은 사용자 경험을 주는 것이 그리 중요한 일일까 싶다. 그보다는 IRC Gateway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Slack이 유료로 파는 기능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Why RSS Still Beats Facebook and Twitter for Tracking News Facebook이나 Twitter 같은 SNS 가 생긴 뒤로 많은 사람이 자신의 포스팅을 SNS에 올리기 시작했고, RSS(Rich Site Summary) 는 이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대표적인 RSS 구독 서비스였던 Google Reader 가 2013년 서비스를 종료했던 것이 RSS의 죽음을 나타내는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RSS를 포기하지 않...

2018년 9번째 주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Lifetime Safety: Preventing Leaks and Dangling Herb Sutter 와 Neil MacIntosh가 쓴 C++에서 memory leak 과 dangling pointer 를 어떻게 없앨 수 있는지에 관한 글이다. 일반적으로 C++의 포인터는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memory leak이나 dangling pointer를 없애기 위해서 C++의 기능을 일부 제한하거나 새로운 문법을 추가하거나 한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언어를 바꾸지 않으면서 런타임 오버헤드 없이 컴파일 타임에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특히 이 알고리즘은 프로그램 전체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단위, 정확히는 블록 단위로 적용할 수 있고, 변수 재사용 등 많은 스타일 가이드에서 권하지 않지만 실제로는 많이 사용되는 패턴들에 대해서도 고려돼있기 때문에 레거시 코드에 적용하기도 좋다. 기계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툴을 만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하지만 툴을 만들 여유가 없더라도 포인터나 레퍼런스를 어떻게 써야 안전한지 보여주는 좋은 글이기 때문에 일단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GitHub DDoS 공격당함 지난 2018년 2월 28일, GitHub 이 Distributed Denial-of-Service(a.k.a. DDoS) 공격을 당해 약 10분 정도 서비스가 멈췄었다. 이 공격은 memcached 를 이용한 공격으로 중국의 0kee team이 찾은 Deluge 라는 기법을 이용한 공격이었다. Deluge는 다른 서버에 설치된 memcached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sourc...

좋은 코드를 많이 봐야 한다

얼마 전 트위터에서 재밌는 이야기를 봤다. 은행에 입사하면 위조지폐를 가리는 훈련으로 진짜 돈을 계속 만지게 한다는 말을 들었다. 진짜에 익숙해지면 가짜를 접했을 때 바로 알게 된다고. 가짜를 가리기 위해 왜 가짜인지를 공부할 필요는 없다고. — 연 (@b__5k) 2017년 2월 22일 가짜를 알기 위해서 가짜를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글인데, 이 트윗을 보니 어렸을 때 봤던 갓핸드 테루 라는 의료 만화가 떠올랐다. 갓핸드 테루는 신입 의사인 마히가시 테루 가 수련을 받으며 명의가 돼가는 과정을 그린 의료만화인데, 그중에서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가 나온다. 주인공 테루 가 슬럼프에 빠져 엑스레이 판독을 못 하게 되자 선배 의사가 테루 에게 과제를 하나 내준다. 어느 환자의 엑스레이 사진을 주면서 이 환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찾아오라는 것이었다. 테루 는 열심히 고민해보지만 결국 문제를 찾지 못하고 문제를 냈던 선배에게 물어보는데, 그 사진은 사실 정상인의 엑스레이 사진이었다. 테루 는 슬럼프에 빠진 자신을 놀린 거냐며 시간 낭비했다고 화냈지만, 실제 환자의 엑스레이를 보면서 선배의 의도를 알게 된다. 환자의 엑스레이를 통해 공부하면, 병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엑스레이를 보며 공부해야 하고, 엑스레이 판독을 할 때도 가능한 모든 병을 고려해봐야 한다. 하지만 정상인의 엑스레이에 한 번 익숙해 지면 익숙하지 않은 부분이 문제가 있는 부분이라고 금방 눈치챌 수 있다는 것이다. 어렸을 때는 이 장면을 그저 만화적 과장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로 일하다 보니 딱히 과장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 흔히들 코딩할 때 정답은 없다고 말한다.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는 수많은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딩에 오답은 있다. 이는 버그가 있는 코드를 말하는 건 아니다. 버그가 있는 코드는 논할 가치도 없다. 오답은 코드를 수정했을 때 버그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코드다. 수정에 민감한 코드는 아무리 지금 버그가 없어도 오답이다. 근데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SB 2.0 케이블의 내부 구조

[C++] enum class - 안전하고 쓰기 쉬운 enum

Log Aggregator 비교 - Scribe, Flume, Fluentd, logstash

[Web] SpeechSynthesis - TTS API

터미널 출력 제어를 위한 termios 구조체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