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6의 게시물 표시

OSI 모델은 무엇인가

OSI 모델 은 추상화를 위해 프로토콜을 여러 계층의 layer로 나누고, 각 layer에서 자신이 책임진 일만 하도록 설계한 네트워크 모델이다. 각 layer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으며, 각 layer에서 수행해야 하는 일만 제대로 된다면 그 구현은 다른 구현으로 대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OSI 7 layer OSI layer는 보통 7계층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OSI 7 layer라고 불리기도 한다. 각 layer의 이름은 가장 아래부터 physical layer , data link layer , network layer , transport layer , session layer , presentation layer , application layer 다. 이를 다시 크게 둘로 나누어서 network layer까지의 아래 3개 layer는 media layer라고 하고, transport layer부터 위의 4개 layer를 host layer라고 한다. media layer는 네트워크상에서 원하는 머신을 찾아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을 하고, host layer는 전송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역할을 한다. 그러면 이제부터 각 layer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할 것인데 명심해야 할 것은 어떤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만들 때 OSI 모델을 지키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에서도 완벽하게 OSI의 원칙에 따라 설계된 프로토콜도 거의 없고, 7개 계층을 전부 구현하여 사용하는 것도 본 적이 없다. 그냥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이러한 역할이 필요하고, 그것은 이러한 순서로 지켜지는 게 안전하다는 가이드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physical layer 우선 가장 아래 계층은 physical layer 다. physical layer에서는 전달 매체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어떻게 0과 1로 바꾸는지를 담당한다. 데이터의 전달 매체에 따라서 0과 1이 반드시 bit일 필요도 없...

[Android] AsyncTask - UI 스레드에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하면 안 된다

안드로이드는 메인 스레드에서 UI와 관련된 일을 처리한다. 그래서 메인 스레드를 UI 스레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UI 스레드에서 오랫동안 CPU를 점유하는 일을 하게 되면, " Application Not Responding "이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이러면 앱에 대한 컨트롤을 잃게 되며, 응답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강제종료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하여 다른 스레드에 시켜야 한다. 하지만 로우레벨의 스레드를 바로 사용하면 동기화하는 과정에서 쉽게 실수할 수 있으므로 실수 없이 쉽게 스레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려고 안드로이드는 AsyncTask 라는 클래스를 지원한다. AsyncTask 는 UI 스레드에서 잠시 동안 백그라운드로 일을 호출하고 싶을 때 사용된다. 잠시 동안이라는 것을 문서상 으로는 should ideally be used for short operations (a few seconds at the most.) 1) 라고 표현하고 있다. 만약 길게 실행되는 일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싶으면 스레드를 직접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몇 가지 있다. 대표적인 문제는, AsyncTask 가 Activity 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AsyncTask 를 호출했던 Activity 가 먼저 죽었을 경우 처리가 복잡해진다. 또 다른 문제는 백그라운드 스레드를 점유해버린다는 것이다. AsyncTask 는 AsyncThread 가 새로 만들어질 때마다 스레드를 생성하지 않는다. 고정된 크기의 스레드 풀이 있고 이 스레드 풀을 모든 AsyncTask 가 공유한다. API 버전에 따라서 1개의 태스크만 실행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태스크가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데, 최신 버전은 1개만 실행되며 모든 태스크는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태스크가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다른 태스크가 실행되지 못한다. AsyncTask 를 사용하는...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fork는 조심해야 한다.

리눅스나 유닉스 같은 POSIX 시스템에서는 fork 를 이용해서 자신과 똑같은 프로세스를 만들 수 있다. 이때 fork 를 호출한 프로세스를 부모 프로세스 라고 하고, 새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자식 프로세스 라고 부르는데,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모든 메모리를 복사한다. fork 는 그 뒤 exec 을 해서 다른 바이너리를 실행시키는 fork-exec 이 일반적인 사용법이다. 하지만 자식 프로세스 는 부모 프로세스 와 완전히 같은 메모리를 가지기 때문에, 스레드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는 exec 을 하지 않고 병렬 처리를 하기 위해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지금은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사용하기 쉽고 가벼운 방식이기에 스레드를 병렬처리를 위해 스레드를 주로 사용하지만, 스레드보다 서로 간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일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분명히 fork 는 없어서는 안 될 기능이지만 fork 에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애초에 fork 는 스레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thread-safe 하지 않다. 따라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fork 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fork 가 부모 프로세스 의 메모리를 전부 복사하지만, fork 를 호출한 스레드를 제외한 나머지 스레드들은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fork 를 호출한 스레드 이외의 스레드에서 획득한 자원은 아무것도 해제되지 않는다. 메모리 릭도 충분히 문제지만, 이는 단순한 메모리 릭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fork 가 복사한 메모리에는 힙이나 스택 이외에 mutex 나 condition variable 들도 포함된다. 만약 mutex 나 condition variable 이 다른 스레드에서 사용된 채로 fork 된다면 해당 변수로 보호되는 critical section에는 다시는 진입할 수 없게 된다. 특히나 malloc 같은 thread-safe 한 함수는 대부분 내부적으로 글로벌한 m...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SB 2.0 케이블의 내부 구조

[C++] enum class - 안전하고 쓰기 쉬운 enum

Log Aggregator 비교 - Scribe, Flume, Fluentd, logstash

[Web] SpeechSynthesis - TTS API

터미널 출력 제어를 위한 termios 구조체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