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multithreading인 게시물 표시

read-writers lock - 공유 자원 접근하기

Multithreaded programming에서 공유 자원에 접근할 때는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자원을 변경시키지 않기 위해서 mutex 를 사용한다. Mutex를 사용하면 공유자원에 접근하는 스레드를 한 개로 제한하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어떤 경우는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여러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동시에 접근해야 하지만 그중 일부 스레드만 값을 변경하는 경우는 어떨까? 이런 경우 값을 읽기만 하는 스레드는 동시에 접근해도 상관없다. 하지만 어떤 스레드가 값을 변경하고 있으면, 다른 스레드는 공유 자원에 접근해서는 안 된다. 반대로 다른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접근하고 있는 중에는 값을 변경하는 스레드는 접근해서는 안 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shared-exclusive lock이라고도 하는 readers-writer lock 이다. Readers-writer lock은 여러 개의 reader와 한 개의 writer를 허용한다. 그래서 multiple-readers/single-writer lock(MRSW lock)이라고도 불린다. 즉, 이미 read lock이 잡혀있는 readers-writer lock에 read lock을 잡으면 바로 lock이 잡히고 다음 코드를 실행할 수 있지만, write lock을 잡으면, lock을 잡지 못하고 read lock이 풀릴 때까지 기다린다. 그렇다면 A thread 가 read lock을 잡고, B thread 가 write lock을 잡은 뒤 C thread 가 read lock을 잡으면 어떻게 될까?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A thread 가 read lock을 잡고 있으니 B thread 의 write lock은 잡히지 못하고 기다리고, C thread 의 read lock은 잡힐 수 있기 때문에, A thread 와 C thread 의 코드가 실행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구현의 경우 read lock이 빈번하게 잡히는 코드라면, write lock이 영원히 실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2018년 10번째 주

이미지
이 포스팅은 그냥 지난 한 주간 읽었던 것들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그냥 예전에 봤던 글 중 나중에 필요한데 뭐였는지 기억 안 나는 글들이 있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하는 일과 관련된 글들이 올라오겠지만 딱히 정해둔 주제는 없고, 그때그때 관심 있었던 것을 읽었기 때문에 지난주에 쓰인 글일 수도 있고 몇 년 전에 쓰인 글일 수도 있습니다. Slack Is Shutting Down Its IRC Gateway 채팅 프로그램들은 누구나 겪는 문제 중 하나가 일부 사용자가 IRC 클라이언트를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lack 도 마찬가지였고, 이에 대해서 Slack은 IRC Gateway 를 지원하여 IRC 사용자들도 Slack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다. https://xkcd.com/1782/ p 하지만 이제는 Slack을 IRC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없다. Slack이 IRC 서포트를 중지한다고 발표했다. 모든 플랫폼에서 같은 사용자 경험을 주고 싶은데 IRC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들이 방해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미 Slack에서 IRC Gateway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 한정된 기능에 적응하고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일 텐데, 이 사람들을 포기하면서 같은 사용자 경험을 주는 것이 그리 중요한 일일까 싶다. 그보다는 IRC Gateway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Slack이 유료로 파는 기능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Why RSS Still Beats Facebook and Twitter for Tracking News Facebook이나 Twitter 같은 SNS 가 생긴 뒤로 많은 사람이 자신의 포스팅을 SNS에 올리기 시작했고, RSS(Rich Site Summary) 는 이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대표적인 RSS 구독 서비스였던 Google Reader 가 2013년 서비스를 종료했던 것이 RSS의 죽음을 나타내는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RSS를 포기하지 않

[Android] AsyncTask - UI 스레드에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하면 안 된다

안드로이드는 메인 스레드에서 UI와 관련된 일을 처리한다. 그래서 메인 스레드를 UI 스레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UI 스레드에서 오랫동안 CPU를 점유하는 일을 하게 되면, " Application Not Responding "이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이러면 앱에 대한 컨트롤을 잃게 되며, 응답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강제종료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하여 다른 스레드에 시켜야 한다. 하지만 로우레벨의 스레드를 바로 사용하면 동기화하는 과정에서 쉽게 실수할 수 있으므로 실수 없이 쉽게 스레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려고 안드로이드는 AsyncTask 라는 클래스를 지원한다. AsyncTask 는 UI 스레드에서 잠시 동안 백그라운드로 일을 호출하고 싶을 때 사용된다. 잠시 동안이라는 것을 문서상 으로는 should ideally be used for short operations (a few seconds at the most.) 1) 라고 표현하고 있다. 만약 길게 실행되는 일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싶으면 스레드를 직접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몇 가지 있다. 대표적인 문제는, AsyncTask 가 Activity 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AsyncTask 를 호출했던 Activity 가 먼저 죽었을 경우 처리가 복잡해진다. 또 다른 문제는 백그라운드 스레드를 점유해버린다는 것이다. AsyncTask 는 AsyncThread 가 새로 만들어질 때마다 스레드를 생성하지 않는다. 고정된 크기의 스레드 풀이 있고 이 스레드 풀을 모든 AsyncTask 가 공유한다. API 버전에 따라서 1개의 태스크만 실행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태스크가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데, 최신 버전은 1개만 실행되며 모든 태스크는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태스크가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다른 태스크가 실행되지 못한다. AsyncTask 를 사용하는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fork는 조심해야 한다.

리눅스나 유닉스 같은 POSIX 시스템에서는 fork 를 이용해서 자신과 똑같은 프로세스를 만들 수 있다. 이때 fork 를 호출한 프로세스를 부모 프로세스 라고 하고, 새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자식 프로세스 라고 부르는데,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모든 메모리를 복사한다. fork 는 그 뒤 exec 을 해서 다른 바이너리를 실행시키는 fork-exec 이 일반적인 사용법이다. 하지만 자식 프로세스 는 부모 프로세스 와 완전히 같은 메모리를 가지기 때문에, 스레드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는 exec 을 하지 않고 병렬 처리를 하기 위해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지금은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사용하기 쉽고 가벼운 방식이기에 스레드를 병렬처리를 위해 스레드를 주로 사용하지만, 스레드보다 서로 간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일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분명히 fork 는 없어서는 안 될 기능이지만 fork 에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애초에 fork 는 스레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thread-safe 하지 않다. 따라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fork 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fork 가 부모 프로세스 의 메모리를 전부 복사하지만, fork 를 호출한 스레드를 제외한 나머지 스레드들은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fork 를 호출한 스레드 이외의 스레드에서 획득한 자원은 아무것도 해제되지 않는다. 메모리 릭도 충분히 문제지만, 이는 단순한 메모리 릭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fork 가 복사한 메모리에는 힙이나 스택 이외에 mutex 나 condition variable 들도 포함된다. 만약 mutex 나 condition variable 이 다른 스레드에서 사용된 채로 fork 된다면 해당 변수로 보호되는 critical section에는 다시는 진입할 수 없게 된다. 특히나 malloc 같은 thread-safe 한 함수는 대부분 내부적으로 글로벌한 m

Global Interpreter Lock이란?

이미지
GIL 이란? GIL이란 Global Interpreter Lock 의 약자로 여러개의 쓰레드가 있을떄 쓰레드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GIL은 전역에 lock을 두고 이 lock을 점유해야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따라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실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은 3개의 쓰레드가 분산해서 일을 처리하게 될 때도 실제로 CPU를 점유할 수 있는 thread는 한 개뿐이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하는 코어는 하나뿐이라는 것이다. 싱글 코어 컴퓨터에서 multi thread program을 실행하는 모습 같다. GIL의 efficiency 직관적으로 멀티코어에서도 코어를 하나밖에 사용 못 한다면 GIL을 사용해서 multi threads를 지원하는 것은 성능에 큰 문제가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정확히 말해서 프로그램은 대부분 I/O bound 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I/O bound의 경우 대부분 시간을 I/O event를 기다리는 데 사용하기 때문에 event를 기다리는 동안 다른 thread가 CPU를 사용하면 된다. 반대로 말해서 프로그램이 CPU bound 인 경우에는 multi-threaded program을 작성해도 성능이 향상되지 않는다. 오히려 lock을 acquire하고 release하는 시간 때문에 성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GIL의 장점 멀티 쓰레드 프로그램에서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CPython , PyPy , Ruby MRI , Rubinius , Lua interpreter 등 많은 인터프리터 구현체들이 GIL을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우선 GIL을 이용한 multi-threads를 구현하는 것이 parallel 한 multi-threads를 구현하는 것보다 훨씬 쉽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런 parallel 한 multi-threads 구현체들의 문제는 싱글 쓰레드에서 오히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 enum class - 안전하고 쓰기 쉬운 enum

Log Aggregator 비교 - Scribe, Flume, Fluentd, logstash

RAII는 무엇인가

[Python] cache 데코레이터로 최적화하기

[Web] SpeechSynthesis - TTS API